최근 증시 랠리와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위험 자산인 미국’정크 본드’금리가 10%의 벽을 넘어 떨어졌다는 기사도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위험 자산의 대표격처럼 말해지는 “정크 본드”. 정크(Junk). 쓰레기를 뜻하는 말이에요. Bond란 채권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입니다만, 대체 무슨 이유로 채권 앞에 “쓰레기”라는 단어가 붙게 된 것일까요.
>
오늘은 대신증권과 함께 정크본드의 어원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크본드”는 일반적으로 기업의 신용등급이 매우 낮아 회사채 발행이 불가능한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를 말하며, “고수익채권” 또는 “열등채”라고도 합니다. 신용도가 낮은 회사가 발행한 채권이기 때문에 원리금 상환에 대한 불이행 위험이 큰 만큼 이율은 높겠지요?
정크 본드는 1970년대 미국, 정크 본드 시장의 아버지로 불리던 마이클 밀켄이 하위 등급 채권을 ‘정크(Junk)’이라고 부르는 것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1977년 미국의 두 렉셀 본 하임 램버트사에서 최초로 발행한 이후 1980년대 중반 기업 인수 합병의 자금 조달 수단에 이용되어 발행 규모가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채권에는 발행기업이 도산하지 않고 이자를 제때 지급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 신용등급이 매겨지게 됩니다.
회사채는 신용도에 의해서 AAA등급에서 D등급까지 총 18개 등급으로 나뉘어 있지만 여기서 BBB이상은 투자 등급에서 BB+이하는 투자 부적격 등급으로 ‘투기 등급’정크 본드로 분류됩니다. 세계적 신용 평가 기관 무디스는 신용 등급 Ba1이하, S&P에서는 BB+이하의 경우에 정크 본드로 분류한답니다. 이런 신용 등급의 분류 외에도 1)발행 당시에는 투자 적격이었으나 실적 부진, 경영 악화 등으로 부적격 등급으로 전락한 채권 2)의 성장성은 있지만 규모가 작거나 실적이 낮고 높은 신용 등급을 받지 못한 신규 기업의 채권 3)인수를 위한 자금 조달의 목적으로 발행되는 채권도 ‘정크 본드’의 종류로 분류됩니다.
>
흥미로운 것은 이처럼 고위험인 정크본드에 대한 자금이 유입되는 것이 일반적으로는 경기 회복의 신호로 판단하기도 한다는 점입니다. 경기가 회복되면 기업의 채무불이행비율이 하락해 정크본드에 대한 투자위험이 감소할 것으로 여겨져 자금이 대거 유입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미 국채의 이율과 정크 본드와의 스프레드(금리차)가 감소할 때를 정크 본드에 자금이 유입된다고 판단합니다. 정크 본드의 변화 추이를 통해 선행 경기를 읽을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
앞에서 말한 것처럼 고수익이지만 원리금 상환이 어려운 고위험 채권이므로 리스크를 계산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높은 등급에 따라 거래되는 상품이 아니기 때문에 외부 변수로 인한 변화에 취약합니다. 개인투자자의 정보력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직접투자보다는 정크펀드가 포함된 하이일드펀드를 통한 간접투자가 상대적으로 현명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한 정크본드의 개념정리에 대해 재미있게 보셨나요? 수익률이 높을수록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절대 잊어서는 안되겠죠. 그리고, 채권에 투자하는 이유 중 하나가 “안정성”이라고 하는 것을 생각하면, 일반적인 투자자에게 있어서 정크 본드 투자는 위험도가 높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High Risk, High Return’ 양날의 검을 가지고 있는 정크본드에 대해 좀 더 주의깊게 살펴보세요.
>
Q:손실을 낸 펀드를 가지고 있다면? 대신증권[Balance]마스터스펀드 케어랩
>